Vi Editor
Vi mode
- command mode(기본모드) : 대부분의 작업이 이 모드에서 진행됨.
delete, change, copy, move next, cursor 위치변경, text strings 검색, vi editor 종료 등
- edit mode(편집모드) - 기본모드에서 아래의 키를 입력하면 편집모드로 변환,
O
- last line mode( 편집모드에서ESC(=기본모드) -> :(콜론),/,?를 눌러 변환 ) : 저장, 검색, 치환
Vi 명령어
- 새로운글자 입력
- 위치이동
h j k l
← ↓ ↑ →
w : 앞으로 한단어 이동 ctrl + : 한페이지 아래로(f), 위로(b)
b : 뒤로 한단어 이동 반페이지 아래로(d), 위로(u)
e : 현재 단어의 끝으로 이동
$ : 현재라인의 끝으로 이동
0 : 현재라인의 처음으로 이동
- 글자삭제
x : 커서가 위치한 한글자 cut
dw : 위치한 곳에서부터 한단어 cut
dd : 커서 라인 cut
D : 커서가 위치한 곳에서부터 라인의 마지막 부분까지 cut
:5, 10d : 5~10번째 라인 delete (:13, .d : 13번째부터 현재커서위치까지 라인 delete)
- 글자변경
J : 현재라인, 아래쪽라인 join
~ : 대소문자 변경
u : 이전 command 원상태로 돌림 (= ctrl +z (윈도우))
U : 현재라인 모든변경 원상태로 돌림
- 글자검색
/string : 해당string을 아래로 진행하며 검색
?string : 해당string을 위로 진행하며 검색
n : string의다음위치 검색
N : string의이전위치 검색
:%s/old/new/g : file에서 old문자를 new문자로 교체
- 복사/붙여넣기
yy : 커서가있는 줄 복사
p : 커서가 위치한 아랫줄에 붙여넣기
P : 커서가 위치한 윗줄에 붙여넣기
:1,3 co 5 : 1~3번 라인을 복사해 5번 다음 라인에 붙여넣기
:4,6 m 8 : 4~6번 라인을 8번 라인으로 이동
- 저장
:w : 변경사항 저장
:w new_filename : new_filename으로 저장
:wq : 변경사항 저장하고 종료 (일반계정)
:wq! : 강제로 변경사항 저장하고 종료 (root계정)
:q! : 변경사항 저장하지않고 강제종료
- 각종설정
:set nu : 라인 number 보기/ nonu (숨기기)
:set noic : 검색시 대소문자 구분
- 이동
G : 마지막라인으로 이동
1G : 첫라인으로 이동
:21 : 21번줄로 이동
네트워크정보
( ~p336 )
IP와 MAC
-IP Address : 공인ip/사설ip
-MAC(media access control) Address (=hardware address)
Subnet mask
파일위치 (Linux 서버에서 ip관련 파일)
- ip관련 파일 :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
eth0 (첫번째 랜카드)
eth1 (두번째 랜카드)
- 서버이름 : /etc/sysconfig/network
- ip, gw, netmask :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th0
- dns : /etc/resolv.conf
* neat : 리눅스에서 네트워크설정 창(GUI환경) 띄우는 명령어
(eth0편집 설정변경후 /etc/init.d/network restart 로 네트워크 재시작)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서버구축] DNS (0) | 2016.03.08 |
---|---|
Shell Script (0) | 2016.03.08 |
[명령어] - 3. Process / RPM / Cron 관리 (0) | 2016.03.08 |
[명령어] - 2. 권한 / 디스크 관리 (0) | 2016.03.08 |
[명령어] 1. 기본 / 사용자관리 (0) | 2016.03.08 |